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5620(Print)
ISSN : 2288-7652(Online)
Literature and Religion Vol.24 No.1 pp.247-271
DOI : http://dx.doi.org/10.14376/lar.2019.24.1.247

A Study on Implication and Purpose of Taboo Motifs in Story-Tales —On the Point of Theological View.

Cheon Chang-woo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re-interpret the implications of taboo motifs contained in story-tales under the theological point of view. With respect to the taboo motifs of story-tales, this researcher has inquiries on what is human to god, what is god to human, why god imposes taboo to human as well as how human understands and accepts any implication or purpose of such taboo imposed on it. With respect to the implication of the taboo motifs, there has been a number of studies. However, most of earlier studies defined that “human is an existence that may never be god,” and taboo is certain 'boundary line or “hill top” that may crossed into the territory of deity, and with such boundary, it is defined to be in a domain of adverse opinion to contrast god and human. This researcher has sought for the approach with the theological view onto the existing studies by paying attention that the story-tales are ignited together with the primitive religion. As a result, by aggressively accommodating the assertion of Jung in that ‘taboo is a message with the method to lead a human to lead to the direction desired by god with the human breaking the taboo’ and the human that lost the originality with the breaking of the taboo to carry out the rites of passage by selecting and accepting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 of god, it is a fundamental behavior issue to restore the position of deity and it concludes that the foregoing is the plan destined by god for the salvation of humans.

설화의 금기 화소 의미와 목적 연구 —신학적 관점에서

천창우

초록

이 연구는 설화에 내포된 금기 화소의 의미를 신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자 하는 연구다. 연구자는 설화의 금기 화소에 대하여, 인간은 신에게 어떤 존재인가. 신은 인간에게 어떤 존재이며, 신은 왜 인간에게 하필 금기를 부여하는가. 또 그렇게 부여된 금기의 의미나 목적을 인간은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하여야하는가 등의 의문을 갖게 되었다. 금기 화소의 의미에 관하여는 지금까지 적잖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인간은 결코 신이 될 수 없는 존재”이며, 금기는 그런 인간이 침범해서는 안 될 신적 영역의 “경계선”이나 “고갯마루”로 규정하고, 이를 경계로 신과 인간을 대치시키는 부정적 견해로만 규정하였다. 연구자는 설화가 원시종교와 함께 발화된 점에 주목하여 기존의 연구에 신학적 시각의 접근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금기는 인간이 그것을 깨뜨림으로써 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방법적 메시지’라는 융의 주장을 수용하고, 금기의 파기로 원형성을 상실한 인간이 금기에 투사하여 통과 의례를 치름으로써, 신적 지위를 회복할 수 있는 근본적 행위 문제로써, 이는 인간의 구원을 위한 신의 계획된 목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Figure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