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5620(Print)
ISSN : 2288-7652(Online)
Literature and Religion Vol.23 No.3 pp.199-219
DOI : http://dx.doi.org/10.14376/lar.2018.23.3.199

An Ecology of Myungrihak (命理學): A New Old Truth

Kim Sung-hyu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bstract

Myungrihak, the philosophy of fate in China and Korea, deserves a new look from modern ecological perspectives. Myungrihak is a philosophy that tries to predict the future of human destiny by interpreting natural cycles and laws. In the past, it was blamed for being superstitions and fraudulent. However, in the present, it seems to contain a lot of ecological values to the 21st century. The devastation of nature and disturbance of the ecosystem due to reckless development centered on civiliz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has long passed a serious level. Myungrihak enables us to reflect on ourselves, control ourselves, and the extent of these threats and harm to nature, and to achieve a balance. This consideration of nature, in both the East and the West, has been tried on a very liberal level. These include Romantic poets, American transcendentalist Ralph Waldo Emerson, Henry David Thoreau, and modern writers from the 20th century, Gary Snyder and Robinson Jeffers. The context of these ecological and literary ideas is in many ways consistent with the philosophical world view of Myungrihak with a strong ecological potential.

명리학의 생태주의: 새로운 오래된 진실

김성현

초록

동양의 운명철학인 명리학은 현대의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다시 재조명할 가치가 있다. 명리학은 자연의 순환과 법칙을 근간으로 인간의 운명을 유비하여 삶의 미래에 대한 예측을 시도하는 철학이다. 과거에는 명리학을 빙자한 근거 없는 점술등이 혹세무민의 도구로 사용되어 사회적인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하였으나, 현대에는 21세기의 새로운 인문학의 대안으로 여겨질 수 있을 만큼 그 철학적, 사회적, 인문학적 가치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현대문명이 겪고 있는 생태학적인 위기는 명리학이 본질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자연의 균형과 조화라는 철학과 매우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는 사상적인 공통점이 있다. 문명과 과학기술발달 중심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자연의 황폐화와 생태계의 교란은 이미 심각한 정도의 단계를 넘어선지 오래라고 할 수 있다. 자연의 질서와 조화를 중시하는 명리학은 인간이 자연에게 가하는 이러한 위협과 위해의 정도를 스스로 성찰하고 절제하며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내적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러한 자연에 대한 고찰은 매우 인문학적인 차원에서 시도되어 왔다. 이러한 생태문학적인 사상의 맥락은 여러 가지 면에서 명리학의 철학적인 세계관과 일치한다고 말할 수 있다.
 

Figure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