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5620(Print)
ISSN : 2288-7652(Online)
ISSN : 2288-7652(Online)
Literature and Religion Vol.22 No.1 pp.151-176
DOI : http://dx.doi.org/10.14376/lar.2017.22.1.151
DOI : http://dx.doi.org/10.14376/lar.2017.22.1.151
The Sacred Noise at the Soundscape of Noon in Colonial Korea.
Abstract
This article will explore the condition of Korean souls by the Soundscape of Noon in the Colonial period. The marvelous sound of the Church was a Sacred Sound and the keynote in the early part of the Colonial period. The sound of noon influenced many Koreans as well as their minds; such as The March First movement. However, the Japanese empire confiscated the church bells to create products for the Second World War. The evidence shows that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filled the vacant room of bells with sirens, which officially forced the idea of ‘Naesen Ilchi’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 to serve the Japanese King like Judaism, which shows the soundscape of the bell was an important factor at the time. Dong-ju Yun reveals the special power of bell in the poem “The cross” by using the image of whistling blouses instead of a bell. This could be considered as the result of the Keynote which could recall the sound of the bell image again. It shows the power of humans and that the sacred sound should not to be taken lightly.
초록
본고는 대한제국시기에 들어온 교회당의 정오 종소리와, 1940년경 종이 강탈 되면서 독주한 사이렌의 변화상을 통해 ‘일제강점기 정오의 소리정경’(사운드스 케이프, Soundscape)을 다룬다. 기존 소리정경연구는 주로 사회적, 정치적 의미 만을 다뤘으나, 소리정경의 체계를 좀 더 명확히 적용하여 소리에 담긴 상징적 의미를 더불어 밝힌다. 교회당의 종소리는 어떤 일상적 소리보다도 큰 소리였다 는 점에서 정신적 권력을 보여주는 ‘성스러운 소음’이다. 교회당의 종소리는 일 상적 소리, 즉 기조음으로서 당대인들의 삶에 새로운 리듬이 됐다. 이는 3.1만세 운동이 종소리를 사용한 원인으로 지목됐다. 사이렌은 정치적 목적에서 정오소 리정경을 강탈하려 한 도구로 다뤄졌다. 전쟁물자를 이유로 종이 강탈된 후, 사 이렌이 교회당의 삼종체계가 그러하였듯이 세 번 울리는 체계로 변하며 새로운 관습이 되려 했던 점 및 사이렌을 통한 천황숭배방침이 유대교적 성격이었다는 점이 근거로 제시됐다. 기조음은 일상적이라 사람들에게 특별하게 인지되지 못 하고, 사라진 후에야 향수되기도 한다. 가령, 윤동주는 종이 사라진 정경에 휘파 람을 호출함으로써 종의 기조음이 담던 정신적, 정치적 영향력을 다시 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