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5620(Print)
ISSN : 2288-7652(Online)
ISSN : 2288-7652(Online)
Literature and Religion Vol.22 No.1 pp.19-39
DOI : http://dx.doi.org/10.14376/lar.2017.22.1.19
DOI : http://dx.doi.org/10.14376/lar.2017.22.1.19
Melancholy of Four Humoralism and Its Literary Connection to Myungrihak.
Abstract
The theory of melancholy has been of great importance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culture. Melancholy is one of the four elements in Western cosmology, and its epistemological frame has similar features to the semiotic structure of Myungrihak, which is a systematic philosophy of interpreting human destiny in Asia. Myungrihak is based on Nature; the permanent natural phenomena function as a kind of principals. The very core of melancholy theory and Myungrihak appears to share a lot in common in that both of them deal with human culture and nature. This literary theory has evolved by incorporating affiliated fields such as psychoanalysis, feminism, politics, and even physics. Recently, current literature has begun to deal with nature as it has been seriously endangered by destructive technological progress. Ecology may be the conscientious academic reaction to this phase of modern civilization. Myungrihak, as it deals with nature and human destiny, may possibly function as a critical framework that enlightens humanity in the light of nature.
초록
서양에서 멜랑콜리 이론은 문학과 문화의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멜랑콜리는 서양의 우주론에서 인간을 구성하는 4원소중 하나라고 할 수 있으며, 멜랑콜리에 관한 인식론적인 프레임은 명리학에서 구성된 기호학적인 특성과 매우 유사하다. 명리학은 자연을 근간으로 동양에서 자연과 인간의 운명 을 탐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멜랑콜리 이론과 명리학의 이론의 가장 핵 심은 둘 모두 인간의 문화와 자연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문학이론은 오 랫동안 그것과 인접한 다른 학문의 지식체계를 흡수하면서 발전해 왔다. 정신분 석학, 페미니즘, 정치학, 그리고 심지어 물리학 까지도 문학의 영역으로 흡수되 어 새로운 비평이론의 토대가 되기도 했다. 보다 최근에 문학은 현대과학기술로 인해 위협받고 있는 자연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데, 이러한 시도 는 생태학, 혹은 생태학적 문학비평의 이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생태학은 아 마도 현대문명의 파괴적인 위험에 대한 양심적인 학문의 반응이라고 할 수 있 을 것이다. 명리학은 그것이 본래 자연과 인간의 운명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생태주의적 관점과 접목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많이 있으며, 아마도 그런 관점에서 새로운 인문학적 통찰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