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5620(Print)
ISSN : 2288-7652(Online)
ISSN : 2288-7652(Online)
Literature and Religion Vol.20 No.4 pp.59-86
DOI : https://doi.org/10.14376/lar.2015.20.4.59
DOI : https://doi.org/10.14376/lar.2015.20.4.59
The Life of Yakov in Bernard Malamud’s The Fixer: Homo Sacer and Sovereign Power.
Abstract
Homo sacer can be killed but not sacrificed because homicide laws are not applicable to him/her, and s/he is not worthy enough to be offered in sacrificial rituals. Sovereign power, Giorgio Agamben argues, establishes itself through the production of homo sacer, and the exclusive inclusion of homo sacer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a zone of indistinction.” This article examines Bernard Malamud’s The Fixer in which the protagonist, Yakov, under the rule of the last Russian Tsar, experiences a “naked life” in the prison, and has become a new political subject. Having experienced the absurdity of reality, Yakov has realized that what makes humans human are charity and compassion. It is significant that while injustice originates from the sovereign power whose source is its egotistical production of homo sacer, justice starts with Yakov’s, one of “the miserables,” charity and compassion for others.
초록
호모 사케르는 정치적인 삶을 뜻하는 ‘비오스’(bios)가 박탈된 “단순한 자연 생명”(zoe)으로 면책 살인이 가능하나 희생 제물로 바쳐질 수 없는 “생명”을 지 칭한다. 아감벤에 따르면, 호모 사케르를 배제된 존재로 포함하면서 주권의 실 제적인 효력은 발생하는데, 주권 권력은 벌거벗은 생명을 생산해 내는 지점에서 기원하고 호모 사케르라는 “예외”는 “비 식별역”으로만 설명이 가능하다. 본 논 문은 이러한 아감벤의 기본 논지를 중심으로, 버나드 말라무드의 장편 소설 수 선공에서 몰락해 가는 러시아 절대 왕권이 야콥을 ‘벌거벗은 삶,’ 즉 호모 사 케르로 생산하는 과정과 그가 결국 어떤 정치적 주체로 재탄생 하는지를 고찰 한다. 수선공에서 권력은 그 자체로 본래적 힘이 있는 실체라기보다 호모 사 케르와 같은 예외를 생산해냄으로써 권력을 생산, 유지한다는 사실이 여지없이 드러난다. 야콥이 자신의 논리적 사고체계가 송두리째 해체되는 고통을 경험하 며 부조리한 현실을 비 식별역의 차원에서 사유한 후 도달한 지점이 바로 자혜 와 체휼인 것은 의미심장하다. 주권권력의 ‘나’를 향한 야욕이 불의의 원인인 반면, 야콥의 ‘타인’을 향한 자혜가 정의를 가능하게 하는 시작임을 알 수 있다.